ϵ  οа Բ ϰڽϴ.

ǿҰ

  • ǻ
  • ʾ
  • ڷ
  • ǿ
  • 5߾
ȸǷ ˻
 

ϵȸ  Դϴ. ׻ ε  ּ ϰڽϴ.


Warning: mysql_connect() [function.mysql-connect]: Access denied for user 'root'@'localhost' (using password: YES) in /data/jeyun/13_kyeongnam/hd/wwwroot/document/retrieval/inc/inc_dbconn.php on line 3
Խñ б

하동군립도서관 운영 및 출산과 관련한 우리군의 상황과 대책에 대하여

۾

서임수

ۼ

2012-07-25

ȸ

130

서임수의원입니다.
하동군의 교육여건 개선과 우리 지역실정 및 특성에 맞는 교육발전방향을 제시하고, 교육정책을 개발하고 지원함으로써 지역인재 양성은 물론, 군민들이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불철주야 애쓰시는 조유행군수님을 비롯한 공무원들께 감사를 드립니다.
특히 2011년 10월24일 하동군교육발전협의회를 결성하여 당면한 교육현안을 토론하고, 협의하는 등 최선을 다 하시는 군수님께 다시한번 감사를 드립니다.
그동안 우리 군의 교육경비지원 현황을 살펴보면 2011년에 47억700만원이 지원되었고, 2012년에는 총 50억1,000만원으로 군사업이 27억7,600만원, 장학재단이 8억1,300만원, 하동화력에서 14억2,100만원이 지원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관내 전 고등학생까지 무상교육을 실시하고, 글로벌 시대에 부응하는 영어교육강좌 등 많은 사업에 지원하였으며, 평생학습도시로 지정받아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접하고 폭넓은 교양을 익혀 군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군민자치대학운영 등 많은 교육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이런 교육사업을 통해서 얻어지는 학습효과도 크다고 할 수 있겠지만, 군민의 독서운동을 확산 정착시키고 사교육비 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독서교육장인 현재의 군립도서관은 1959년도에 건립한 구 교육청 건물로서 건물이 낡고 노후되어 2008년 10월16일 경남도 교육청 재난위험시설 심의결과 개축대상 D등급을 판정받아 다중이용시설로서 이용에 적합하지 않는 위험을 안고 있어 대책이 시급할 뿐 아니라 몇 일전 “도서관이 무너질까 공부가 안돼요” 하는 경남매일에 기사가 났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하동군 관내 구 교육청 도서관의 벽이 허물어진 사진 전경입니다.
특히 주5일제수업 전면 시행에 따른 학생과 학부모들의 독서문화와 건전여가선용을 위하여 농촌의 학생들과 학부모들도 도시와 너무 차별받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질문을 드리겠습니다.
첫째 도립, 시립, 군립도서관의 운영주체는 어디인지 답변해 주시기 바랍니다.
둘 때 하동도서관의 운영현황으로 시설물 현황, 자료 및 이용자 현황, 등록된 독서회원 현황, 도서관 전체 운영예산중 우리 군이 지원하는 예산은 얼마인지 답변하여 주시고, 셋째 현 도서관의 문제점과 각종 문화행사와 군민들의 독서를 지원하는 사회교육기관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신축할 수 없는지 답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우리 군의 출산가정에 대해 질문을 드리겠습니다.
우리 군의 연간 출생자 수는 통계청의 인구동태 통계에 의하면 2010년에 373명, 2011년에는 346명으로 하루 평균 1명이 태어나는데 우리 군에는 산부인과가 없어 출산을 하거나 영유아 진료를 위해서는 인근 도시지역으로 원정출산, 진료를 가야 합니다.
시골이니까 어쩔 수 없고 장사가 안 되니까 산부인과 운영할 의사가 없다고 하면서 대책은 고사하고 문제의식마저 갖지 못함으로서 출산장려정책은 형식적으로 추진되고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분만 취약지역인 농어촌지역 산모들은 도시지역 산모들보다 출산합병증이 25%정도 높다고 합니다.
보건소에는 임산부들을 위하여 찾아가는 산부인과를 운영하여 임신부를 진료하고 출산준비를 도와주고 있지만, 결국은 인근 도시인 진주나 광양으로 원정출산을 할 수밖에 없는 안타까움을 지울 수 없습니다.
첫째 우리 군내의 임산부들이 출산을 하면 어디에서 분만을 하는지, 자가분만, 병원분만이 있는데 병원분만을 한다면 어느 지역의 병원을 이용하는지 그 현황을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둘째 우리 군내의 병의원이 몇 개이며, 산부인과 진료가 가능한 병원이 있는지?
24시간 응급의료기관이 있다면 그 병원의 운영현황과 셋째 2012년 행정사무감사 자료에 의하면 출산장려와 산모의 편의를 위해서 분만가능 거점병원 육성과 보건소 산부인과 설치를 건의했다고 하는데 그 결과는 어떠했습니까?
넷째 산부인과 설치 조건 및 보건복지부 지원현황과 다섯 번째 우리군의 산부인과 설치의 문제점 및 분만실을 갖춘 산부인과를 24시간 응급의료기관에 설치할 용의는 없는지 답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문화관광과,보건소답변.hwp

޴